소화 데레사로 잘 알려진
아기 예수의 데레사 성녀는 열 다섯 살
어린 나이에
수도원에 들어 갑니다.
어린 나이에 수도생활을
시작한 데레사 성녀는
봉쇄 수도원에서
살면서 도대체
자신의 聖召가
무엇인지 깨닫지 못해
허무의 심연 속에서
늘 고통스러워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너무나 고통스러운 나머지 성경을 들고
코린토 1서12장과 13장을 읽으며
묵상하다가
자신의 성소의 열쇠가
'애덕'에 있음을 깨닫게 됩니다.
그 순간 데레사 성녀는
너무나 기쁜 나머지 이렇게 부르짖습니다.
"오, 제 사랑이신 예수여! 제 성소를
마침내 찾았습니다.
제 성소는 사랑입니다.
그렇습니다.
저는 교회에서 저의 자리를 찾아냈습니다.
어머니이신 교회의 마음속에서
저는 '사랑'이 되겠습니다.
데레사 성녀는 9년
정도의 짧은 수도 생활을 마감하고
24세의 나이에 하늘나라로 갔습니다.
그녀는
그저 봉쇄 수도원의
높은 담장 안에서 수도생활을 한 것 뿐인데
무엇이 이토록 교회 안에
커다란 반향을
불러일으켰는지요?
콜카타의 마더 데레사처럼 빈민들이 사는
지역에 직접 들어간 적도 없이
오로지 온실
속의 작은 꽃송이처럼 살았는데
어떻게 소화데레사 성녀의 향기는
여전히 교회 안에 아름답게
흐르고 있는지요?
기상학자가 발표한
과학 이론 가운데 "나비 효과"라는 것이 있지요.
초기 기상 현상의
미세한 차이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점점 커져서
기후에 엄청난 변화를
일으킨다는 이론이지요.
이것을 사랑으로 바꾸어 말하면
사람들의 작은
사랑의 날갯짓이
세상을 바꾸는 태풍이
될 수도 있다는 뜻입니다.
데레사 성녀도
우리가 떨어져 있는
핀 하나를 사랑의 마음으로 주울 때
세상 어디에선가
죄인 하나가 회개한다고 말했습니다.
작은 행동이지만
사랑의 마음이 담겨 있으면
세상을 변화시키는 태풍이 됩니다.
가던 길을 멈추고 휴지 하나 줍는 일,종이컵
하나도 아껴 쓰는 일,
이웃을 위한 보이지 않는 배려,
데레사 성녀는 이렇게
어린이의 마음으로 사랑하는 방법을
우리에게 일러
주었습니다.
그리고 지금도 평범해보이기만 하는
작은 사랑의 날갯짓들이
세상을 바꾸고 있습니다.
_오늘 말씀으로 아침을 열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