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적 이야기

행동 속의 숨은 감정에 주목하라,

낙산1길 2013. 8. 9. 09:51

아직 언어 구사력이 부족한 아이들은

말보다는 몸

전체로 표현합니다.

 

 

 

 

따라서 아이의 행동을 관심 있게

살펴봐야 감정을

놓치지 않습니다.

 

특히 성격이 소극적이어서

 감정을 잘 드러내지 못하는

 아이라면 더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화가 나서 울거나

장난감을 집어던지는 등

 분명한 행동으로

감정을 표현하면

알아

차리기가 쉬운데

표정을 살짝 찡그리거나

조용히 자기 방에

들어가버리면

아이의 감정을

놓칠 수 있습니다.

 

 

 

 

온몸으로 표현하는

감정을 알아차리기란

 생각만큼 쉽지 않습니다.

 

행동은 눈에

바로 보이고

감정은

 그 안에 숨어 있기 때문에

 부모도 모르는 사이에

감정보다는 행동에

 대해 먼저 이야기를

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화가  나서

 문을 꽝 닫았을 때

'아, 아이가 화가 났구나' 라고

생각하기보다는

문을 꽝 닫은 행동이 괘씸해

부모도 화가 나기 쉽습니다.

 

그래서 "너,어디서 버릇없이

문을 꽝 닫아"하고

목청을 높이며

야단을 칩니다.

 

 

 

행동만 보면

그 안에 숨어 있는

 감정을 읽을 수 없고,

감정을 읽어주지 못하면

행동은 더

격해집니다.

 

그야말로 악순환의 연속입니다.

악순환의 고리를 끊기 위해서는

행동보다 감정에

먼저 주목해야 합니다.

 

 

 

 

행동속에 숨은 감정을

표착하는 것,

바로 이것이

감정코칭의 1 단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