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의 고향

양심과 공감능력

낙산1길 2013. 2. 13. 11:15

사람의 마음은 사람마다 다 다른 것이 아니라

좋아 하고 싫어하는 것에 일정한 보편성이 있다.

마음에 보편성이 있기 때문에 상대방의 마음을 헤아리고

공감할 수 있다. 인격적 존재로서의 인간은 타인의 마음을

헤아려서 타인을 배려하는 것이 양심의 소리에 맞는 행동이다.

 

 

예컨대 내가 재화나 편안함을 좋아하면 다른 사람도 그것을 좋아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좋아하는 것을 나만이 아니라 타인도 그것을 함께

즐길 수 있도록 배려하는 것이 양심적 태도다. 또한 내가 싫어하고 기피화는

것은 타인도 마찬가지다.

내가 천대받고 업신여김을 당하고 싶지 않으면 다른 사람도 마찬가지다.

따라서 양심은 타인에게 그들이 싫어하는 것을 강요하지 말라고 한다. 양심은

인간으로 하여금 사회생활  속에서 입장을 바꾸어서 타인의 마음을 공감하고 타인을

 

자기 자신처럼 배려하게 한다. 그것이 공자가 말한 일이관지(以貫之)의 道이고, 忠恕의

참 의미라고 다산은 해석한다.

 

 

 

 

우리의 도는 무엇을 하자는 것인가? 사람과 사람 사이에 만남을 잘하자는 것일 뿐이다. (....)

 

만남을 잘한다는 것은 무엇을 말하는가? 윗사람에게 싫어하는 바를 가지고 아랫사람을 부리지

 

말고, 아랫사람이 싫어하는 바를 가지고 윗사람을 섬기지 말고, 앞사람에게 싫어하는 바를 가지고

 

뒷사람을 이끌지 말고, 뒷사람에게 싫어하는 바를 가지고 앞사람을 따르지 말고, 오른편 사람에게

 

싫어하는 바를 가지고, 왼편 사람을 사귀지 말고,  왼편 사람이 싫어하는 바를 가지고 오른편 사람을 사귀

 

지 않는  것, 이것을 일러서 만남을 잘 한다고 하는 것이다. 이것을 한 글자로 표현하면 恕가 아닌가!(....)

 

공자가 말한 一以貫之도 이것을 일컫는  것이 아닌가?